/AI생성이미지


국내 주요 산업계가 올해 계획된 119조 원 규모의 설비 투자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으며, 심화되는 미국의 통상 압박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6일 11개 주요 업종협회와 함께 ‘제3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동향을 점검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회의에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는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임을 강조하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 환경 조성 의지를 밝혔다. 또한, 글로벌 관세 전쟁 등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업계의 우려를 공감하며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약속했다.

회의에 참석한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업종협회들은 투자가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들은 안정적인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 대기업 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과 같은 세제 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등을 통한 신속한 금융 지원, 지역투자보조금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건의했다.

특히, 최근 미국의 대외 통상 정책 변화와 관련하여 각 업종별 대응 전략이 논의되었다. 반도체와 바이오 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미국에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 파트너인 한국에 대한 특별한 고려를 요청했다. 조선 협회는 정부와 협력하여 한미 간 협력 확대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한 협회들은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의 대미 활동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공동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의회는 국내 설비 투자의 순조로운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미국의 통상 압박이라는 외부 변수에 대한 산업계의 공동 대응 의지를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정부와 업계는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불확실한 대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방침이다.

#산업정책 #민관협의회 #국내투자 #설비투자 #대미국통상 #관세전쟁 #공급망 #협력 #반도체 #자동차 #조선 #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