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인기 많은 과일인 바나나의 미래가 어둡다.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의 바나나 재배지 3분의 2가 2080년까지 바나나 재배를 못하게 될 것이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온 상승, 극단적인 기상 이변, 기후 변화에 따른 해충 번성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콜롬비아와 같은 바나나 재배 국가를 강타해 수확량 감소 등 지역 사회가 황폐해지고 있다고 영국 자선 단체 크리스천 에이드(Christian Aid)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이며 밀, 쌀, 옥수수에 이어 4번째로 중요한 식량 작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바나나의 약 80%는 현지에서 소비되며, 4억 명 이상의 사람이 하루 섭취 칼로리의 15~27%를 바나나에 의존한다. 전 세계 슈퍼마켓에 공급되는 바나나 수출 물량의 약 80%는 중남미와 카리브해 국가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 지역들은 극심한 기상 변화와 기후 재해에 가장 취약한 곳에 속한다. 문제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온실가스에 거의 아무런 책임이 없는 이 지역이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에 가장 취약한 곳들 가운데 하나라는 점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지금 우리가 먹는 바나나의 대부분은 캐번디시 종이다. 원래는 향이 짙고 당도가 높은 그로 미셸 종이 대세였다. 하지만 1960년대 치명적 곰팡이 병인 파나마 병이 유행하면서 사실상 멸종했다. 캐번디시 종은 병충해에 강한 내성을 갖도록 개발한 새로운 품종으로 지난 40여 년간 수출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일 종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캐번디시 바나나는 민감해 잘 자라려면 15℃~35℃의 기온에 적당한 양의 물이 필요하나 폭풍우에 약해 강풍에 잎이 찢어지고 떨어지면 광합성이 훨씬 어려워진다. 캐번디시 바나나는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급변하는 기후에 특히 취약하다.
기후 변화는 재배 환경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칠뿐 아니라 곰팡이성 전염병을 확산해 바나나 재배지를 파괴하고 있다. 특히 바나나 뿌리를 썩게 만드는 또 다른 곰팡이 병인 파나마 병의 확산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기온 상승과 잦아진 기상 이변 등의 영향으로 파나마 병을 유발하는 토양 매개 미생물인 푸사리움 열대종 4 (Fusarium Tropical Race 4)가 퍼지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과테말라에서 바나나를 재배하는 53세의 농부 아우렐리아 팝 소(53) 씨는 “기후 변화로 작물이 죽어가고 있다. 팔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기에 수입이 없다. 내 농장이 죽어가고 있다. 그러니까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이 바로 죽음”이라고 크리스천 에이드 연구원들에게 토로했다.
'크리스천 에이드'의 오사이 오지고 정책선전 국장은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선호되는 과일일 뿐 아니라 수백만 명의 필수 식량이기도 하다"며 "기후 변화가 이 필수 작물에 가하는 위험을 자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기후 위기를 초래하는 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은 사람들의 삶과 생계가 이미 위협받고 있다"며 오염물질을 배출하며 기후 위기에 대부분의 책임이 있는 부유한 국가들이 화석 연료에서 탈피하고, 취약한 공동체들이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