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이미지


이재명 대통령이 7일 베트남 국영통신사 VNA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양국 관계의 심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이는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방한(10일부터 13일까지)을 계기로 양국 협력을 본격화하겠다는 메시지다.

이 대통령은 우선 경제 목표를 제시했다. 그는 2030년까지 양국 간 교역액을 1500억 달러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산업 구조의 전환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제는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 기술산업, 서비스, 콘텐츠 등 미래산업으로 경제 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이뤄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제조 기반의 전통적 협력을 넘어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공동 진출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원자력 발전과 고속철도 등 인프라 협력에도 무게를 실었다. 또한 과학기술 협력과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베트남-한국 과학기술연구원 VKIST 등 기존 협력체계를 활용해 연구·기술 공유와 우수 인력 양성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다.

경제 협력의 실행엔 다층적 자유무역 협정도 중요하게 다뤄졌다. 그는 베트남-한국 자유무역협정 VKFTA, 아세안-한국 자유무역협정 AK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 등을 경제 성장의 기반으로 언급했다.

안보·정치 분야에서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베트남의 역할을 높게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는 더는 이 지역만의 특별한 문제가 아니다"라며 "화해와 협력의 남북 관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베트남은 빠질 수 없는 필수적인 동반자"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양국이 "세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 표현들은 양국이 지역 안보 협력에서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협의를 강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인적 유대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관광과 문화 교류의 활력을 예로 들며 "혹시 베트남 국민들께서는 '경기도 다낭시'라는 말을 들어보셨느냐"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내 약 10만 가구의 한-베트남 다문화 가정이 양국 관계의 기초라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또 베트남 근로자를 "든든한 민간 외교관"으로 지칭하며 이들의 복지와 안전한 체류를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그는 국무회의에서 베트남 근로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터뷰는 세 축을 동시에 공고히 하려는 전략으로 읽힌다. 첫째, 수치 목표(교역 1500억 달러)로 경제 협력의 방향을 명확히 했다. 둘째, 첨단산업·서비스·콘텐츠 등 질적 전환을 통해 양국 산업 간 시너지를 노린다. 셋째, 안보와 인적 교류를 결합해 협력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 한다.

향후 한국 기업들은 원전·고속철 등 인프라 사업과 첨단 기술 분야에서 수주 기회를 넓힐 가능성이 크다. 베트남은 개발 목표(2030 중상위 소득, 2045 고소득)를 달성하는 데 한국의 기술·자본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치적으로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동남아의 지지를 확보하는 외교적 포석이 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다문화 가정과 근로자 지원이 양국 민심과 장기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이번 인터뷰는 양국 관계의 범위를 경제에서 정치·인적 교류로 확장하는 청사진이다. 구체적 사업 실행과 제도적 지원이 뒤따른다면 제시된 목표 달성은 현실성이 있다. 다만 실행의 관건은 협약 활용, 사업 수주 경쟁력, 그리고 현지 수요와 인프라 여건이다. 정부와 기업의 협업이 중요하다.

#교역1500억달러 #첨단산업 #원자력 #고속철도 #한반도평화 #다문화가정 #VNA #VKFTA #AKFTA #RC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