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pal News 자료


네팔 정부의 소셜미디어(SNS) 차단 조치가 걷잡을 수 없는 국가적 위기로 번졌다. 부패와 실업에 절망한 젊은 세대의 분노는 유혈 참사와 총리 퇴진을 넘어 국가 시스템의 전면적인 붕괴를 초래했으며, 현재 네팔은 사실상 무정부 상태 속에서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SNS 차단, 성난 민심에 불을 붙이다
사태의 발단은 지난 4일에서 5일 사이, 카드가 프라사드 샤르마 올리 총리 정부가 페이스북, X(구 트위터), 유튜브 등 26개 주요 SNS 플랫폼 접속을 차단하면서 시작됐다. 정부는 미등록 사업자에 대한 합법적 규제라고 주장했지만 , 대중은 이를 노골적인 검열 시도로 받아들였다.

결정적 패착은 정부 지침에 따라 사전 등록을 마친 중국계 기업의 ‘틱톡’을 차단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었다. 당시 틱톡은 정치인 자녀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을 고발하는 ‘#네포키드(#NepoKid)’ 운동의 중심지였다. 비판 여론의 핵심 통로는 남겨둔 채 대중의 소통 수단만 막은 이 모순적인 조치는 정부의 무능을 드러내며 억압에 대한 저항에 불을 붙였다.

“부패를 차단하라”, Z세대의 절규
이번 시위는 ‘Z세대 시위’로 불릴 만큼 10대와 20대 청년들이 주도했다. 이들이 외친 핵심 구호는 "소셜미디어가 아닌 부패를 차단하라(Stop corruption, not social media)"였다. SNS 차단은 계기였을 뿐, 분노의 근원은 훨씬 깊은 곳에 있었다.

고질적인 부패와 족벌주의 , 20%에 육박하는 청년 실업률 , 그리고 2008년 왕정 폐지 이후 13번이나 정부가 바뀌는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이 젊은 세대를 절망으로 내몰았다. 특히 1인당 국민소득이 1,400달러에 불과한 나라에서 정치인 자녀들이 SNS에 과시하는 호화로운 생활은 청년들의 박탈감을 자극하며 분노를 키웠다.

평화 시위에서 유혈 참사로
8일 수도 카트만두에 수만 명이 모여 시작된 평화 시위는 하루 만에 비극으로 돌변했다. 시위대가 의회 건물 진입을 시도하자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를 넘어 실탄을 발포하기 시작했다. 목격자들은 경찰이 시위대의 머리와 가슴을 조준 사격했다고 증언했다.

이 무력 진압으로 카트만두 등 전국에서 최소 19명이 숨지고 500명 이상이 다치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국가의 폭력은 시위대를 급진화시켰고, 정책 철회 요구는 정권 타도라는 함성으로 바뀌었다.

국가 시스템 붕괴...의회 방화와 대규모 탈옥
9일, 시위는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다. 분노한 군중은 의회 의사당, 대법원, 중앙 행정청 등 국가 핵심 기관에 불을 질렀다. 올리 총리와 파우델 대통령을 포함한 여야 지도급 정치인 24명의 자택도 방화의 대상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 총리의 아내가 사망하는 비극도 발생했다.

위기는 국가 강제력의 상징인 교도소가 습격당하며 절정에 달했다. 카스키 교도소에서는 시위대의 도움으로 수감자 약 900명이 탈옥했고 , 마호타리 교도소에서도 벽이 무너지며 572명이 풀려나는 등 전국적으로 동시다발적인 탈옥 사태가 벌어졌다. 공식 확인된 탈옥 인원만 1,400명을 넘어서며 , 네팔 정부가 사실상 통치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음이 드러났다.

총리 사임과 권력 공백, 군부의 등장
국가 시스템이 마비되자 정부는 힘없이 무너졌다. 8일 저녁 라메시 레카크 내무장관의 사퇴를 시작으로 내각이 와해됐고 , 결국 9일 올리 총리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사임을 발표했다.

총리 사임은 즉각적인 권력 공백을 낳았다. 경찰력이 무력화되자 군 병력이 수도 카트만두 국제공항을 통제하고 도심에 배치되는 등 사실상의 계엄 상태에 돌입했다. 하지만 시위대는 총리 사임에도 멈추지 않고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을 요구하며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국제사회 "깊은 우려", 인권 침해 비판
국제사회는 네팔 정부의 강경 대응을 일제히 비판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경찰의 과잉 무력 사용에 "충격을 받았다"며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국제앰네스티 역시 "치명적인 무력 사용"을 강력히 규탄하며 희생자에 대한 국가 배상을 요구했다. 인접국 인도는 자국민에게 안전 주의보를 발령했고 , 주네팔 미국 대사관은 현지 대피령을 내리는 등 외교가의 움직임도 긴박해지고 있다.

#네팔 #Z세대시위 #SNS차단 #올리총리사임 #국가붕괴 #대규모탈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