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증시 고평가' 발언과 엔비디아의 오픈AI 투자를 둘러싼 의혹이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다.

이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8.76포인트(0.19%) 하락한 46,292.78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6.83포인트(0.55%) 떨어진 6,656.92를, 나스닥종합지수는 215.50포인트(0.95%) 내린 22,573.47을 기록했다.

장 초반부터 하락세를 보인 증시는 엔비디아가 3% 이상 급락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전날 엔비디아가 오픈AI에 1천억달러 투자를 발표했지만, 투자 구조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오히려 매도 압력이 강해졌다.

비스포크투자그룹은 "오픈AI가 자체 투자금 조달을 위해 공급업체에 자신을 파는 형국"이라며 "엔비디아가 미래 매출 확보를 위해 고객 지분을 매입하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AI 분야 전체의 자기 참조적 성격을 보여주는 불길한 신호"라며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매도 전문가 짐 차노스도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추산한 AI 공장 비용이 현재 많은 AI 데이터센터 회사들이 투자자들에게 알리는 비용보다 훨씬 높다"며 의구심을 표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하락세에 더욱 불을 지폈다. 그는 이날 공개 석상에서 "많은 측면에서 현재 주가는 상당히 고평가로 보인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발언 이후 나스닥은 장중 1% 이상 하락하는 등 매도 우위가 강화됐다.

업종별로는 기술주와 임의소비재가 1% 이상 하락했고, 에너지만 1.71% 상승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 빅테크 기업들은 브로드컴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으며, 아마존은 3% 이상 급락했다.

연준 주요 인사들은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였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현재 정책금리가 완만하게 긴축적이며 중립 수준은 현재보다 1.5%포인트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은 노동시장 악화를 고려해 결단력 있는 금리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9월 미국 제조업·서비스업 경기도 둔화세를 보였다. S&P글로벌에 따르면 9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3.9로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제조업 PMI 예비치도 52.0으로 2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 50bp 인하 확률을 77%로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날 대비 3.35% 오른 16.64를 가리켰다.

#뉴욕증시 #엔비디아 #오픈AI #파월의장 #증시고평가 #AI투자 #벤더파이낸싱 #기술주하락 #금리인하 #경기둔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