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자료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 메타플랜트에서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 전원에게 친필 서명이 담긴 위로 서한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대통령실은 10월 24일 이재명 대통령이 10월 22일부터 24일 사이 외교부를 통해 피해자 전원에게 편지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한 발송은 9월 4일 미국 국토안보부(DHS) 산하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조지아주 엘라벨(Ellabell)의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건설 현장에서 약 475명을 체포한 사건의 후속 조치다. 당시 체포된 인원 중 300여 명이 한국 국적의 기술자 및 엔지니어였다.

이 대통령은 서한에서 "정말 고생 많으셨다는 위로 말씀을 먼저 올린다"며 "머나먼 이국땅에서 얼마나 두렵고 외로운 시간을 견디셔야 했을지 감히 가늠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내내 신경을 곤두세우느라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며 "부당한 일을 겪으며 불안과 두려움 속에 계실 여러분을 생각하니 쉽게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또한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고 고된 시간을 버텨주셔서 진심으로 고맙다"며 "정부 대응을 믿고 인내해 주신 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 국민이 세계 어디서나 정당한 권리를 침해받지 않고, 우리 기업이 안심하고 자유롭게 경제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외교적·제도적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미국 재방문 때 불이익이 없도록 조처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구체적인 후속 대책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자진 출국(Voluntary Departure)한 근로자들이 향후 미국 입국 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을 약속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단속은 DHS 역사상 단일 사업장 대상으로는 최대 규모였다. ICE는 현장 근로자들이 단기 상용 비자(B-1) 또는 무비자 입국(ESTA)으로 입국해 건설 현장 노동에 종사했다며 비자 목적 외 활동 혐의를 적용했다. 그러나 현대차는 이들이 한국에서 제작된 배터리 생산 장비의 설치 및 시운전을 담당한 기술자들이라고 반박했다.

구금 과정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수갑과 허리·발목을 연결하는 체인에 묶인 채 이송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국 내 여론이 악화됐다.

사태 수습을 위해 한국 외교부와 미 국무부는 9월 30일 워싱턴 D.C.에서 '한미 비자 실무협의회'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양국은 B-1 비자나 ESTA로 입국한 한국인도 "해외에서 구매한 장비의 설치, 서비스, 수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재확인했다. 또한 10월부터 주한 미국 대사관 내에 '한국 투자 기업 전담 데스크(Korean Investor Desk)'를 설치해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차 최고경영자(CEO) 호세 무뇨스(José Muñoz)는 이번 단속으로 배터리 공장 건설이 "최소 2~3개월 지연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 사람들은 미국에 없는 인력"이라며 한국 기술자들의 대체 불가능성을 강조했다. 76억 달러가 투입된 이 프로젝트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핵심 사업이다.

11월 중순 기준으로 구금됐던 근로자 중 약 30~50명이 적법한 비자를 재발급받아 조지아주 공장 현장에 복귀했다. 한편 구금 피해자 약 200명은 11월 ICE를 상대로 불법 체포, 인종 프로파일링(Racial Profiling), 인권 침해 등을 이유로 집단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다.

#이재명대통령 #조지아현대차공장 #ICE단속 #한미동맹 #비자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