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이자 몽골 마지막 황제의 어의였던 이태준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이 몽골 울란바타르에 문을 열었다.
주몽골대한민국대사관과 몽골한인회는 4일 오후 몽골 울란바타르시 현지에서 이태준 선생 기념관 개관식을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개관식에는 최진원 주몽골대한민국대사, 조정식 국회의원, 나치만 국가보훈부 보훈문화정책관, 조윤경 몽골한인회장, 조근제 함안군수, 김동균 대암이태준선생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참석했다. 몽골 측에서는 환경기후변화부 졸바야르 사무차관, 울란바타르시 항올구 체렌 구청장, 외교부 에르덴토야 전 주한대사 등 총 300여 명이 참석해 기념관 개관을 축하했다.
새로 개관한 기념관은 2001년 몽골 정부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은 부지에 조성된 이태준 기념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국비 등 19억 6천여만 원을 투입해 기존의 협소한 목조 기념관을 대체했다. 지하 1층에서 지상 2층 규모의 현대적 전시·교육 공간으로 건립됐다.
기념관에는 이태준 선생의 인공지능 복원 영상과 한·몽 교류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교류관이 설치됐다. 의사 이태준의 구국운동과 의사로서의 활동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다.
개관식은 기념사와 축사에 이어 기념영상 상영, 축하공연, 기념촬영, 기념관 관람 순으로 진행됐다. 기념관 신축 개관에 기여한 주몽골대한민국대사관과 몽골한인회에 대한 국가보훈부 장관 표창도 수여되었다.
이태준 선생은 1883년 11월 경남 함안에서 태어났다. 1907년 세브란스의학교에 입학해 약 3년 9개월만인 1911년 6월 졸업했다. 김규식 선생의 권유로 1914년 몽골의 고륜으로 이동했다. 동의의국이라는 병원을 개업하고 근대적 의술을 펼쳤다. 몽골 사회에서 두터운 신뢰를 쌓았다.
각지의 애국지사들과 긴밀한 연락을 유지하며 항일활동을 펼쳤다. 중국과 몽골 사이를 오가는 애국지사들에게 숙식과 교통을 비롯한 온갖 편의를 제공했다. 신한청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된 김규식 선생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태준 열사는 몽골 마지막 황제의 어의를 지냈다. 당시 외국인에게 수여된 최고 등급의 몽골 국가훈장을 수여 받았다. 우리 정부에서는 이태준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최진원 주몽골대한민국대사는 기념사에서 "수교 35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이태준 기념관이 개관하게 된 것을 축하한다"고 했다. "이태준 선생의 독립정신과 몽골인들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 오늘날 한·몽 우호 관계에 자양분이 되었으며, 이태준 선생의 뜻을 따라 양국 관계를 보다 성숙하고 내실있는 관계로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몽골 졸바야르 사무차관은 축사를 통해 "이태준 선생은 한-몽 우호 관계의 상징적인 인물로서, 몽골에서 근대 의료기술로 많은 몽골인의 전염병을 치료하고 몽골 황제의 어의로 활동하는 등 지금까지도 몽골인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나치만 보훈문화정책관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조국독립을 위한 독립운동가이자, 몽골에서 한국의 슈바이처로 지금까지 존경받는 이태준 선생의 정신을 기리는 기념관을 개관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했다. "국가보훈부는 이태준 기념관이 한·몽 우호증진과 독립정신 계승에 기여하는 사적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관리와 운영지원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태준기념관 #독립유공자 #몽골황제어의 #한몽우호 #울란바타르 #세브란스의학교 #건국훈장애족장 #항일독립운동 #몽골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