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공관 경제안보 담당관 영상회의 장면 / 외교부 제공
외교부가 재외공관의 경제안보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외교부는 6일 오후 9시부터 10시 30분까지 김선영 양자경제외교국장 주재로 제6차 재외공관 경제안보 담당관 회의를 화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약 35개 재외공관의 경제안보 담당관과 기획재정부 공급망 대응 담당자가 참석했다.
외교부는 2022년 1월 첫 회의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6차례 경제안보 담당관 회의를 개최해왔다.
김 국장은 모두발언에서 "대내외 경제안보 환경이 복합적 도전에 직면한 가운데, 우리 정부의 경제안보 대응의 전초기지로서 재외공관의 현지 정보 파악 및 초동 대응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외공관이 경제안보 리스크 징후를 적시에 파악하여 보고해달라"고 당부했다.
회의에서는 각 재외공관의 조기경보시스템(EWS) 운영 상황과 지역별 경제안보 관련 정책입법 동향이 공유됐다. 참석자들은 해외 재외공관 중심의 민관협력 체계 구축 계획, 재외공관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고도화 방안, 범정부 공급망 위기 도상훈련(TTX)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는 현재 37개 재외공관에서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해외발 공급망 교란이 국내 산업과 민생으로 파급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범정부적 노력의 일환이다.
공급망 위기 대응훈련은 공급망안정화기본법 등에 따라 외교부와 기재부를 비롯한 15개 소관부처, 유관기관, 실무기관, 민간기관 등이 참여하는 경제 공급망 위기 대응훈련이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본부-재외공관-관계부처 간 더욱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우리 정부의 경제안보 대응 역량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재외공관 #경제안보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EWS #김선영 #양자경제외교국 #공급망안정화 #민관협력